MODU 직업인 이야기

[MODU 직업인 인터뷰] ‘소년심판’에 나오는 청소년법, 누가 만들까?

MODU 모두매거진 2022. 3. 30. 09:06
728x90

청소년의,

청소년에 의한,

청소년을 위한

청소년정책연구원

대한민국 청소년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자랄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그 기반이 될 법과 정책이 필요하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청소년이 본인 삶의 주인공이 돼 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정부의 청소년 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정책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하는 기관이다. 그렇다면 청소년정책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만들어질까?

 

 

 

청소년활동에 날개를 달아줄 정책을 만드는 기관
‘청소년정책 기본계획’은 5년마다 수립된다. 이는 청소년의 권리 및 책임과 가정, 사회, 국가, 지방자치단체에 청소년에 대한 책임을 정하고 청소년정책의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법인 ‘청소년기본법’에 근거한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청소년 분야로는 국내에서 유일한 국책연구기관으로, 청소년정책기본계획의 방향과 내용을 연구한다. 특히 올해는 ‘제6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이 마무리되는 해로, 새로운 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하고 대통령 선거를 통해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는 시기이므로 국가 청소년정책의 전환기에 맞는 전략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내에는 청소년의 성장을 지원하는 지역 생태계를 만드는 미래생태연구실, 청소년 문화를 활성화할 미디어와 문화예술 교육을 맡은 미디어문화연구실, 청소년 정책을 혁신하고 청소년 시설과 단체, 청소년활동을 개발하는 창의혁신연구실 등이 마련돼 있다. 이외에도 청소년의 복지와 삶의 질을 개선하고 취약 및 위기청소년을 지원하는 삶의질연구실, 청소년의 몸과 마음의 건강과 인권을 보장하기 위한 인권보장연구실, 청년 관련 법률과 정책을 연구하는 청년정책연구실을 운영 중이다.

 

 

 

청소년의 목소리를 귀담아듣는 것이 첫걸음
청소년정책을 만들 때는 청소년과 지역사회가 원하는 바를 듣고 국회의원이나 지방자치단체장 등 법을 만드는 사람들과 함께 공론을 해야 한다. 이때 청소년의 생생한 목소리로 정책 과제를 전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역할이다. 먼저 연구 과제를 설정하기 위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주위를 살핀다. 어떤 청소년정책이 필요한지, 그리고 이 정책이 아직 만들어지지 않은 이유와 왜 현장에서 반영되지 않는지를 비판적인 시선으로 바라봐야 한다.
발견한 문제를 해결할 대안을 만들기 위해 연구 과제와 목적을 설정한 뒤에는 문헌 연구와 설문조사 및 분석, 인터뷰와 같은 면담 등 다양한 각도로 자료를 수집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조사한 정보를 논리적으로 풀어내 현실화할 수 있는 정책을 만들 수 있도록 의견을 내는 것이다. 법과 제도는 어떻게 개선할지, 어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지역자원을 연계할지 등 정책의 세부 내용을 제안한다. 그리고 정부기관 및 전문가들과 실현가능성을 협의하고, 타당성 있는 정책을 제시한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말하는 직업 이야기
"생각에 그치지 않고 무엇이든 해보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진로개발센터 강경균 센터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는 연구실 외에도 청소년진로개발센터, 글로벌청소년연구센터, 학교폭력예방교육지원센터 등이 있는데요, 청소년진로개발센터에서는 어떤 연구를 하고 있나요?
말 그대로 청소년의 진로개발을 위주로 연구하는데, 특히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까지 폭넓게 다뤄요. 위기청소년, 학업을 중단하거나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아이들, 소외계층을 위한 진로를 지원합니다.
한 아이를 키우는 데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말이 있죠. 우리는 여러 청소년 관련 시설이 학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속 진로 자원과 연계해서 청소년이 좀 더 자유롭고 자기주도적으로 진로를 계획하고 성장할 수 있는 정책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참여한 정책 연구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연구가 있나요?
‘청소년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예요. 기업가정신을 기르는 목표는 단순히 창업 교육이 아니에요. 내 삶의 참된 가치를 알고 삶을 이끌어가는 마음을 갖게 만드는 것이죠.
기업가정신은 청소년의 진로와 매우 연관이 깊은데 학교 교육과정으로 제시되어 있지는 않아요. 그래서 기업가정신을 기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교육과정처럼 구성하고 싶었어요. 국내외 문헌을 검토하고, 기업가정신 교육을 경험한 20명 정도의 교사, 청소년, 현장 전문가, 학계 연구원 등을 인터뷰하고 설문조사를 한 결과 타당성이 있고 구체적인 교육과정(안)을 만들 수 있었죠.

 

 

청소년정책을 연구하려면 직접 청소년과 부대끼며 지내보기도 해야겠어요.
이야기만 나누는 게 아니라 현장에서 청소년과 숙박도 하고 운동도 하며 청소년의 진짜 목소리를 들으려 해요. 청소년들도 진로에 대해서 고민이 참 많아요. 그런데 이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행동으로 옮기는 걸 어려워하죠. 고민에서 머무르지 않고 실천하게 만드는 것이 나에게도 고민이에요.(웃음) 바람직한 진로 활동이란 결과를 미리 생각하고 머뭇거리는 것이 아니에요. 생각한 것이 있으면 무조건 체험해보고 부딪히는 것이 중요하죠. 내 성장을 위해서는 뭐든 해봐야 하는데, 이를 지원해주는 것이 우리의 몫입니다. 그래서 생각한 대로 해보고 부딪혀볼 수 있게 지역사회 속 청소년기관과의 연계에 주목하는 거고요.
그러고 보니 지난해에 한 고등학생에게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냐는 전화를 한 통 받았어요. 자신이 원하는 직업의 현직자에게 전화를 거는 노력, 직접 정보를 얻겠다는 의지가 기억에 남네요.

 

 

벌써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을 목표로 하는 친구가 있다니! 모든 아이가 그 정신을 갖게 만드는 게 진로 교육의 목적이 되겠어요. 청소년정책연구원이 되려면 어떤 공부가 필요할까요?
우리 연구원의 특징 중 하나는 연구원의 전공에 제한을 두지 않는 점이에요. 나는 경영학과 교육학을 공부했지만, 다른 연구원들은 청소년지도학부터 사회복지학, 법학, 심리학, 사회학까지 전문 분야가 아주 다양하죠. 그래서 더 넓은 관점으로 청소년에 대한 정책을 디자인할 수 있고, 연구에 시너지가 나는 것이고요.
전공과는 무관해도, 타당하고 논리적인 연구를 하려면 설문조사나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법론에 대해 잘 알아야 해요. 연구방법론이라는 도구를 잘 사용하면 어떤 재료로든 자기만의 철학과 논리를 담아 자신이 만들고 싶은 요리를 멋지게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대학원에서 석·박사 과정을 공부하며 논문도 쓰고 다양한 연구에도 참여해봐야 해요. 물론 청소년에 대한 관심과 열정은 기본으로 갖춰야죠.

 

 

청소년을 위한 직업을 갖고 싶다면 지금 당장 해봐야 할 활동이 있을까요?
부모 같은 마음으로 말하자면, 일단 건강해야 합니다.(웃음) 집중력은 체력에서 나와요. 꾸준히 운동을 해 기운이 좋아지고, 활기차지면 주위에도 좋은 에너지를 나눌 수 있어요. 그래야 공부도 하고 싶어지고요.
자꾸 부딪혀보라고, 뭐든 해보라고 했지만 사실 ‘멍 때리는’ 시간도 참 중요해요. 휴대전화를 보는 시간도 휴식이 될 수 있으나, 그조차 하지 않고 멍하니 여유롭게 엉뚱한 생각도 해보면 좋겠어요. 청소년은 자기 삶의 주인공이고, 그들이 무대에서 상상력을 펼칠 수 있도록 준비한 많은 정책과 활동이 있어요. 내 목소리가 담긴 공간과 활동을 만들고, 내 목소리를 담은 정책이 실현되기 위해서 청소년센터와 같은 기관에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해보길 바라요.

 

 

 

 

글 전정아 ●사진 손홍주, 게티이미지뱅크

728x90